안녕하세요. 메타클라우드입니다. 😀
패스트캠퍼스 챌린지 04일차 블로그 학습 정리 포스팅입니다.
학습 기록
금번 포스팅의 학습 기록 목차 및 수강 인증샷 입니다.
1. Amazon VPC
1.1 VPC란?
- Virtual Private Cloud(VPC) — 사용자의 AWS 계정 전용 가상 네트워크로 AWS 클라우드에서 다른 가상 네트워크와 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습니다.
- 서브넷 — 서브넷은 VPC의 IP 주소 범위입니다. 지정된 서브넷으로 AWS 리소스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. 인터넷에 연결되어야 하는 리소스에는 퍼블릭 서브넷을 사용하고,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는 리소스에는 프라이빗 서브넷을 사용합니다.
- 라우팅 테이블 — 라우팅 테이블에는 VPC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전달할 위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라우팅이라는 규칙 집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. 서브넷을 특정 라우팅 테이블과 명시적으로 연결할 수 있습니다.
- 인터넷 게이트웨이 — VPC의 리소스와 인터넷 간의 통신을 활성화하기 위해 VPC에 연결하는 게이트웨이입니다.
- VPC 엔드포인트 - 인터넷 게이트웨이, NAT 디바이스, VPN 연결 또는 AWS Direct Connect 연결을 필요로 하지 않고 PrivateLink 구동 지원 AWS 서비스 및 VPC 엔드포인트 서비스에 VPC를 비공개로 연결할 수 있습니다. VPC의 인스턴스는 서비스의 리소스와 통신하는 데 퍼블릭 IP 주소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. VPC와 기타 서비스 간의 트래픽은 Amazon 네트워크를 벗어나지 않습니다. 자세한 내용은 AWS PrivateLink 및 VPC 엔드포인트 단원을 참조하십시오.
- CIDR 블록 — 클래스 없는 도메인 간 라우팅입니다.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할당 및 라우팅 집계 방법입니다.
https://docs.aws.amazon.com/ko_kr/vpc/latest/userguide/how-it-works.html
Amazon VPC 작동 방식 - Amazon Virtual Private Cloud
Amazon VPC 작동 방식 Amazon Virtual Private Cloud(Amazon VPC)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정의한 가상 네트워크로 AWS 리소스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. 이 가상 네트워크는 의 확장 가능한 인프라를 사용한다는 이점
docs.aws.amazon.com
2. Region 과 AZ
AWS가 전 세계에서 데이터 센터를 클러스터링하는 물리적 위치를 Region이라고 하며, 논리적 데이터 센터의 각 그룹을 AZ(Availability Zones) 가용 영역이라고 합니다.
각 AWS 리전은 지리적 영역 내에서 격리되고 물리적으로 분리된 여러 개의 AZ로 구성됩니다. 복수의 가용 영역에 걸쳐 인스턴스를 배포했을 때 하나의 인스턴스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를 대비하여, 다른 가용 영역의 인스턴스가 장애가 발생한 인스턴스 관련 요청을 처리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.
No. | Code | Name |
1 | us-east-2 | US East (Ohio) |
2 | us-east-1 | 미국 동부(버지니아 북부) |
3 | us-west-1 | 미국 서부(캘리포니아 북부) |
4 | us-west-2 | 미국 서부(오리건) |
5 | af-south-1 | Africa (Cape Town) |
6 | ap-east-1 | Asia Pacific (Hong Kong) |
7 | ap-south-1 | Asia Pacific (Mumbai) |
8 | ap-northeast-3 | Asia Pacific (Osaka) |
9 | ap-northeast-2 | Asia Pacific (Seoul) |
10 | ap-northeast-1 | 아시아 태평양(도쿄) |
11 | ap-southeast-2 | 아시아 태평양(시드니) |
12 | ap-southeast-1 | 아시아 태평양(싱가포르) |
13 | ca-central-1 | Canada (Central) |
14 | eu-central-1 | Europe (Frankfurt) |
15 | eu-west-1 | 유럽(아일랜드) |
16 | eu-west-2 | Europe (London) |
17 | eu-west-3 | Europe (Paris) |
18 | eu-south-1 | Europe (Milan) |
19 | eu-north-1 | Europe (Stockholm) |
20 | me-south-1 | Middle East (Bahrain) |
21 | sa-east-1 | 남아메리카(상파울루) |
패스트캠퍼스 챌린지 04일차 포스팅을 여기서 마치며, 다음 포스팅에서는 VPC의 구성을 학습하고 정리하겠습니다.
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.
수강료 100% 환급 챌린지 | 패스트캠퍼스
딱 5일간 진행되는 환급챌린지로 수강료 100% 환급받으세요! 더 늦기전에 자기계발 막차 탑승!
fastcampus.co.kr
'DevOps > Fast Campu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패스트캠퍼스 챌린지 06일차] - AWS NACL & SG (0) | 2021.11.06 |
---|---|
[패스트캠퍼스 챌린지 05일차] - Public, Private Subnet 구성 (0) | 2021.11.05 |
[패스트캠퍼스 챌린지 03일차] - AWS 기초와 네트워크 (0) | 2021.11.03 |
[패스트캠퍼스 챌린지 02일차] - 노트북 및 AWS 환경 설정 (0) | 2021.11.02 |
[패스트캠퍼스 챌린지 01일차] - 강의소개 및 DevOps 개요 (0) | 2021.11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