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으로 바로가기

안녕하세요. 메타클라우드 입니다. 😎
패스트캠퍼스 챌린지 10일차 블로그 학습 정리 포스팅입니다.

학습 기록

금번 포스팅은 백엔드 실습을 위해 설치한 Django에 대한 튜토리얼 실습을 진행합니다. 패스트캠퍼스 10일차 수강 인증샷 입니다.

패스트캠퍼스 챌린지 10일차 - 수강 인증샷

1. Django 튜토리얼 실습

- 아래 Django 공식 홈페이지의 튜토리얼 페이지에서 실습을 진행합니다.

https://docs.djangoproject.com/ko/3.2/intro/tutorial01/

 

첫 번째 장고 앱 작성하기, part 1 | Django 문서 | Django

Django The web framework for perfectionists with deadlines. Overview Download Documentation News Community Code Issues About ♥ Donate

docs.djangoproject.com

- 버전 확인

python -m django --version

Django가 설치 되었다면, 설치된 Django의 버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만약 설치가 제대로 되지 않았다면, 《No module named django》와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.

- 프로젝트 만들기

Django를 처음 사용한다면, 초기 설정에 주의를 기울여야 합니다. Django project를 구성하는 코드를 자동 생성해야 하는데, 이 과정에서 데이터베이스 설정, Django 위한 옵션들, 어플리케이션을 위한 설정들과 같은 Django 인스턴스를 구성하는 수많은 설정들이 생성되기 때문입니다.

커맨드라인에서 cd 명령으로 코드를 저장할 디렉토리로 이동 한 후(저는 fastcampus로 만듬), 다음의 명령을 수행합니다.

django-admin startproject mysite

Django 프로젝트 만들기

이 명령은 현재 디렉토리에서 mysite라는 디렉토리를 생성할 것입니다. 만약 이 명령이 동작하지 않는다면, django-admin을 실행하는 데 문제가 있습니다.를 확인하세요.

- 프로젝트 확인하기

startproject에서 무엇이 생성되는지 확인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. 각각의 파일을 간략히 보기 위해 manage.py 파일을 vscode를 통해 확인해보겠습니다.

startproject의 생성 내역

- 각각의 파일 역할 확인하기

manage.py 는 전체적인 Django의 서버를 운영하는 역할을 하는 합니다. 서버를 Run 하거나 Stop하기도 함.

 manage.py

- setting.py의 경우 여러가지 Django의 세팅값들이 설정되어 있습니다. 데이터베이스는 어떤걸 쓰는지 등을 설정되어 있고 값을 바꿔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.

- urls.py는 URL과 관련된 행위를 담당하는데 실습하면서 이해하는 것이 더 빠르다고 하여 다음 학습기록에서 확인해보겠습니다.

Code Run 해보기

Django 프로젝트가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해보기 위해 mysite 디렉토리로 이동하고,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세요.

python manage.py runserver

- 아래 http://127.0.0.1:8000 주소를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해봅니다.

runserver 결과화면

- 아래와 같이 runserver의 결과로 django 홈페이지를 로컬로 접속해 볼 수 있었습니다.

Django 서버 접속 결과

 

 

패스트캠퍼스 챌린지 10일차 포스팅을 여기서 마치며, 다음 포스팅에서는 백엔드 Django 강의를 추가로 듣고 실습내용을 정리하겠습니다.


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.

https://bit.ly/3FVdhDa

 

수강료 100% 환급 챌린지 | 패스트캠퍼스

딱 5일간 진행되는 환급챌린지로 수강료 100% 환급받으세요! 더 늦기전에 자기계발 막차 탑승!

fastcampus.co.kr